우리는 이때까지 한 커밋들을 하나의 단어로 말할 수 있다. 우리는 그걸 커밋 히스토리라고 한다.
git log를 하면 우리는 이때까지 한 커밋들을 볼 수 있다.
그리고 git log를 해서 보이는 커밋 히스토리는 위로 갈수록 최신이다. 가장 아래 것이 가장 나중에 한 커밋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commit 옆에 보이는 숫자와 문자들의 조합인 문자열은 커밋의 아이디이다. git은 각각의 커밋을 구별하기 위해 각 커밋에 아이디를 붙여서 관리한다. 이걸 어려운 말로 커밋 해시라고도 한다.
그러면 커밋 하나의 정보가 어떻게 보이는지 천천히 살펴보자.
commit 옆에 문자열은 앞서 commit의 아이디라고 했고 Author부분은 commit을 한 사람. 그리고 date는 날짜. 그리고 맨 마지막 줄은 commit의 메세지이다.
근데 이런 일련의 커밋들을 보면 좀 지저분해 보여서 보기가 힘들다. 이걸 좀 더 간결하고 한 눈에 확 들어오게 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그럴땐 git log —pretty=oneline
이라고 해주면 된다.
oneline은 커밋당 한 줄 씩 출력하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