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밋(commit)**은 Git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입니다. 커밋은 staging area의 현 상태를 그대로 하나의 버전으로 남기는 작업, 또는 그 결과물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했는데요.
커밋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3가지 정보가 있습니다.
(1) 커밋을 한 사용자 아이디
(2) 커밋한 날짜, 시간
(3) 커밋 메시지
특정 프로젝트 디렉토리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한 눈에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밋의 이런 정보들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런데 (1), (2)는 커밋을 할 때 Git에서 자동으로 기록해주지만, (3) 커밋 메시지는 커밋을 하는 사람이 매번 직접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그 분량이나 스타일이 제각각일 수 있습니다.
개인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커밋 메시지를 어떻게 작성하든 큰 상관이 없을 수 있지만, 회사에서 여러 명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이 커밋 메시지가 아주 중요합니다. 그래서 커밋 메시지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에 대한 규칙이 정해져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 규칙들은 회사마다 전부 다르겠죠? 그래도 커밋 메시지를 어떻게 작성하면 좋은지에 대한 일반론적인 가이드라인은 있습니다. 잠깐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커밋 메시지의 제목과 상세 설명 사이에는 한 줄을 비워두세요.
이전 영상에서 커밋 메시지를 남길 때 봤던 장면인데 기억나시나요? 지금 1번이 커밋 메시지의 제목(title), 2번이 커밋 메시지의 **상세 내용(body)**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뭔가 상세한 설명이 필요한 커밋인 경우에는 커밋 메시지 한 줄보다는 이런 식으로 제목과 상세 내용으로 구분해서 적어주면 좋은데요. 이럴 때 제목과 상세 내용 사이에 한 줄을 띄워놓아야 나중에 커밋 메시지를 볼 때 좀더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비어있는 한 줄을 두는 것이 Git에서 공식적으로 권장하는 사항(예를 들어, 특정 명령어가 이 한 줄을 기준으로 제목과 상세 내용을 구분해서 사용한다고 합니다)이기도 하니까 꼭 지켜주세요.
(2) 커밋 메시지의 제목 뒤에 온점(.)을 붙이지 마세요.
(3) 커밋 메시지의 제목의 첫 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작성하세요.
(4) 커밋 메시지의 제목은 명령조로 작성하세요.(Fix it / Fixed it / Fixes it)
(5) 커밋의 상세 내용에는 이런 걸 적으면 좋습니다.
(6)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코드를 바로 이해할 수 있다고 가정하지 말고 최대한 친절하게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