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영상에서 배웠던 커맨드들을 잠깐 정리해볼게요.

1. 작업 내용 저장

git stash

2. 작업 내용 조회(=스택 살펴보기)

git stash list

3. 작업 내용 적용

git stash apply [작업 내용의 아이디]

4. 작업 내용 제거

git stash drop [작업 내용의 아이디]

이전 영상에서 저는 **적용(apply)**한 작업 내용은 스택에서 **제거(drop)**해주는 게 좋다고 했었죠?

그래서 git stash apply를 쓰고 git stash drop을 바로 해줬었는데요.

그런데 사실 이런 식으로 번거롭게 할 필요없이, 작업 내용을 적용하면서 동시에 스택에서 제거도 해주는 커맨드가 있습니다.

그건 바로

git stash pop [작업 내용의 아이디]

이라는 커맨드입니다. 이 커맨드를 쓰면 특정 작업 내용을 적용함과 동시에 그것을 스택에서 제거합니다.

어떤 커맨드인지 직접 보여드릴게요.

1. git stash 하기

아래 그림과 같은 README.md 파일을 갖고 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