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을 저장하거나 전송하다 보면 파일의 크기를 고려해야할 일이 많습니다.

스크린샷 2022-08-04 오후 4.22.25.png

예를들어 카카오톡은 300메가바이트 제한이 있어 2기가 바이트 영상은 보내지 못한다거나

스크린샷 2022-08-04 오후 4.22.58.png

메일에 파일을 첨부할 때 10메가 바이트가 넘으면 대용량 첨부로 전환된다거나 하는 것들 말이죠.

이렇게 컴퓨터를 사용하면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 등의 데이터 단위를 자주 만나게 되는데요, 사실 이 단위들이 이진법과 관련이 있어요. 이번 레슨에서는 데이터 단위의 기본이 되는 두 가지 개념, 비트(bit)와 바이트(byte)에 대해 알아봅시다.

비트(bit)

bitbinary digit의 약자로 데이터의 최소 단위입니다. 이진수로 총 몇 자리인지를 나타낸다고 보면 되는데요. 예를들어 1001의 경우 4비트, 11001011은 8비트가 되겠죠?

바이트(Byte)

그럼 바이트는 비트랑 무슨 관계일까요? 바이트는 비트의 8배입니다. 그러니까 1 Byte = 8 bit 인거죠.

참고로 비트와 바이트 둘 다 알파벳 b로 시작하기 때문에 줄여서 적을때는 보다 작은 단위인 bit는 소문자 b로, 보다 큰 단위인 Byte는 대문자 B로 적는다는 것도 기억하세요!

더 큰 데이터 단위

그럼 마지막으로 우리가 자주 보게되는 MB, GB와 B의 관계와 더 나아가서 더 큰 데이터 단위는 무엇이 있는지 봅시다.

스크린샷 2022-08-04 오후 4.24.16.png

와웅 내가 아는건 테라바이트 까진데 나중엔 페타바이트 까지 나오겠당 우오앙 신기해 그리고 각 단위마다 1000배씩 차이가 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