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난 시간에 문자열 “15”를 숫자 15로 바꾸는 함수를 배웠다.parseInt()
이번엔 추가로isNaN()
함수를 배워볼 것이다. 이 함수는 해당 문자가 숫자가 맞는지 아닌지를 구별해 주는 함수이다.
const myAge = parseInt(prompt("please write your age"));
console.log(myAge);
만일 myAge에 숫자가 아니라 문자열을 적는다면 콘솔창은 NaN을 출력한다. 우리는 프로그램을 좀 더 스마트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만일 우리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데, 숫자가 맞다면 “thank you”를 출력하고 숫자가 아니라면 “please write a number”이라고 출력한다고 하자.
그럴때 필요한게 conditional(조건문)이다.
const myAge = parseInt(prompt("please write your age"));
if(isNaN(myAge)){
console.log("please write your age");
}
else{
console.log("thank you for writing your age");
}
이렇게 적으면 isNaN함수가 myAge값이 number가 맞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true,false 값을 return한다. 그렇기 때문에 리턴한 값이 true이면 문자열이기때문에 please write your age 를 출력하고 아니면 thank you for writing your age를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