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에 우리는 변수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const라는 형을 써 변수를 만들어 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사실 변수를 만드는 방법에는 한가지가 더 있다.
변수를 만드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const
를 이용하는 것 한가지는 let
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둘의 차이는 뭘까? 이 둘의 차이는 const는 변하지 않는 상수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것이고, let은 정보를 업데이트해서 바뀌는 수를 저장할 때 쓰이는 형이다.
여기 예를 들어보자.
const myNumber1 = 5;
const myNumber2 = 10;
let myName = "sinamong";
console.log(myNumber1);
console.log(myNumber2);
console.log(myName);
myNumber1 = 15;
myName = "hohoho";
console.log(myNumber2);
console.log(myName);
이렇게 코드를 작성했을 때, const로 형이 선언된 변수 myNumber1,2는 정보를 수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웹브라우저에서 확인하면 수를 변경할 수가 없다고 오류가 난다. 하지만 let으로 선언된 myName 변수는 성공적으로 변수가 수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우리는 거의 바뀌지 않는 수들을 많이 이용하고, 정보를 업데이트를 해야하는 변수는 가끔 이용하기때문에 기본적으로는 const를 이용하고 가끔 변수에 저장된 수를 바꾸고 싶을 때 let을 이용해주면된다.
우리는 가끔씩 오래된 버전의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할 때가 있다. 그때 나오는 형이 var가 있는데, 이건 문제점이 있다. 정보를 수정하고 싶지 않아도 var를 이용하면 변수 안에 담긴 수가 바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var를 이용해선 안된다.
기억하자 const >>>> let , var(x)